정책 & 이슈 / / 2025. 8. 13. 08:40

2025 청년도약계좌 조건·신청·이자·해지 총정리

“5년 뒤 목돈, 진짜 가능할까??"

🪝 도입부 – 현실적인 질문부터

월급 통장에서 빠져나간 70만 원, 5년 뒤 내 통장에 5천만 원으로 돌아온다면?
요즘 청년 사이에서 ‘이건 안 하면 손해’라는 소리까지 나오는 게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.
하지만, 무작정 가입했다가 조건을 놓쳐 기여금 못 받는 경우도 있고, 중도해지 때 세금+손해로 아쉬움이 남는 경우도 많죠.
그래서 오늘은 가입 조건 → 신청 절차 → 이자·기여금 구조 → 해지 시 주의점까지, 팩트만 모아서 실패 없는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.

1. 가입 조건 – 자격부터 체크하세요

연령만 19~34세 (병역이행 시 최대 39세)
개인소득총급여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
가구소득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 (최초 심사 시만 확인)
기타최근 3개년도 금융소득종합과세 이력 無
중복 가입은행 전체 통틀어 1인 1계좌 (청년희망적금 유지 시 불가)

TIP: 가구소득은 최초 심사 때만 확인하고, 이후에는 개인소득만 봅니다.

2. 신청 방법 – 매달 기회 있지만 빨리

  • 신청 시기: 매월 1일~말일
  • 신청 채널: 협약은행 앱(국민·신한·우리·하나·농협·기업·부산·대구·경남·광주·전북)
  • 진행 순서:
    1. 은행 앱에서 ‘청년도약계좌’ 신청
    2. 서민금융진흥원이 나이·소득·가구원 동의 확인
    3. 익월 초 계좌 개설 후 첫 납입
  • 서류 준비: 주민등록등본, 소득증빙서류, 가구원 동의서

3. 이자·정부기여금 – 5년 뒤 금액은?

  • 납입금액: 월 1천 원~70만 원 자유납입
  • 금리 구조: 3년 고정 + 2년 변동 (은행별 다름)
  • 세제 혜택: 이자 전액 비과세
  • 정부기여금: ’25년부터 월 최대 3.3만 원
  • 총 급여 2,400만 원 이하 + 월 70만 원 납입 → 월 3.3만 원 지원
  • 6,000~7,500만 원 구간은 기여금 없음(비과세만 적용)
  • 예시: 월 70만 원 × 60개월 = 원금 4,200만 원 + 이자 + 정부기여금 → 약 5,000만 원대 목돈 가능
청년도약계좌

4. 해지·부분인출 – 3년이 ‘마지노선’

  • 부분인출: 가입 2년 경과 후 원금의 40% 이내 가능
  •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: 비과세 + 기여금 60% + 상향된 해지금리
  • 3년 미만 해지: 과세 + 기여금 전액 미지급 + 낮은 해지금리
  • 특별중도해지 사유: 결혼·출산·주택구입·퇴직·해외이주 등 → 기여금 전액 유지
청년도약계좌

 

5. 가입 전 체크리스트

  1. 나이·소득·가구소득 조건 충족 여부
  2. 월 70만 원이 부담되면 금액 줄여도 유지 가능
  3. 은행별 금리·우대조건 비교
  4. 최소 3년 이상 유지할 계획 세우기

결론: 조건만 맞으면 최고의 청년 자산형성 상품이지만, 가입 전 자신에게 유리한지 계산은 필수입니다.
💡 추가 팁: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‘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’를 검색하면 모든 은행 금리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